반응형
Windows 11 설치할 때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강제 로그인 때문에 고민이신가요? 많은 분들이 개인정보 보호나 단순함을 위해 로컬 계정을 선호하시는데,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점점 더 까다롭게 만들고 있어서 답답하실 거예요.
다행히 여전히 몇 가지 확실한 방법들이 있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방법 1: 인터넷 연결 차단하기
Windows 11 설치 중에 네트워크 연결을 끊는 것이 가장 간단하고 확실한 방법입니다.
단계별 진행 과정:
- Windows 11 USB로 부팅 후 설치 진행
- 국가/지역 선택까지 진행
- 랜선을 뽑거나 Wi-Fi 연결 해제
- "인터넷에 연결하지 않고 계속하기" 옵션 선택
- 로컬 계정 생성 화면이 나타남
이 방법은 100% 성공률을 보여줍니다. 네트워크가 없으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로그인 자체가 불가능하니까요.
방법 2: 차단된 계정 활용 트릭 (가장 쉬운 방법)
2024년 말부터 많은 사람들이 사용해서 더욱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진행 단계:
-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입력 창에서 no@thankyou.com 입력
- 다음 단계에서 아무 비밀번호나 입력 (예: 123456)
- 이미 많은 사람들이 시도해서 계정이 막혀있기 때문에 "인증할 수 없음" 메시지 표시
- 자동으로 로컬 계정 생성 옵션으로 넘어감
이 방법은 차단된 계정의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최근 들어 성공률이 높아지고 있어요.
로컬 계정의 장점과 주의사항
로컬 계정 사용 시 얻는 이점들:
- 개인정보 수집 최소화
- 오프라인 환경에서도 완전한 기능 사용
- 빠른 로그인 속도
- Microsoft 서비스와의 강제 연동 방지
하지만 Microsoft Store, OneDrive, Office 365 등의 서비스 이용에는 제한이 있어요. 필요할 때는 언제든 설정에서 Microsoft 계정으로 전환할 수 있으니 걱정 마세요.
설치 후 추가 설정 팁
로컬 계정으로 설치 완료 후에는 다음 설정들을 확인해보세요:
프라이버시 설정 최적화:
- 설정 >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에서 불필요한 데이터 수집 옵션 해제
- Microsoft Store 자동 업데이트 설정 조정
- 원격 측정 데이터 전송 최소화
Windows 11을 로컬 계정으로 설치하는 것이 점점 까다로워지고 있지만, 여전히 가능해요. 가장 확실한 건 네트워크 연결을 끊는 방법이니 이것부터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
혹시 설치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거나 다른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제가 실제로 사용해본 경험을 바탕으로 도움을 드릴게요.
반응형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