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두이노나 라즈베리파이등을 사용하다보면 스위치를 통해 작업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스위치를 사용하고 싶은데 그 원리를 몰라서 사용을 못하시는분들도 이 글을 보시면 어떠한 원리로 작동을 하는지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알아보도록 하죠!


자 우선 스위치의 구조부터 보도록 하겠습니다. 스위치는 아래 사진처럼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빨간색끼리 서로 내부적으로 연결이 되어있고 초록색끼리도 내부적으로 연결된 상태입니다. 빨간색이 +극이라고 가정을 하겠습니다.

  자 그럼 스위치를 눌렀을 때에 저 파란색 부분이 서로 연결이 되겠죠? 그렇게 되면 빨간색 초록색 으로 전기가 흐를 수 있는 것입니다. 빨간색 선이 연결이되고 선을 초록색 위 아래 어느 부분에 연결을 하여도 전기가 통하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TIP


위쪽 빨간색이 +라고 가정을 하고 아래쪽 초록색에 선을 연결을 해도 스위치를 누르면 전기는 통합니다. 왜냐하면 초록색끼리는 내부적으로 서로 이어져 있기 때문이죠. 위쪽 초록색이 전기를 받아서 아래쪽 초록색으로 전기를 전달해주니까 아무런 문제없이 전기는 흐를 수 있습니다.


이게 기본적인 스위치의 원리입니다. 자 그러면 두 곳의 장소에서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예를들면 1층 거실의 전등을 1층과 2층에서 제어를 할 수 있는 방법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그 방법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구조를 3로 스위치라고 합니다. 1층과 2층 어디에서도 전구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아래의 사진 상태 그대로라면 전구에는 불이 들어올까요? 아니죠 불은 들어오지 않습니다. 왜냐 A통로 B통로 둘중에 어느 하나도 회로가 닫혀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이 상태에서 불이 들어오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1층 스위치나 2층스위치를 눌러주기만 하면 됩니다. 1층을 누르면 B통로로 2층을 누르면 A통로로 연결이 되겠죠. 



이러한 방식으로 2곳에서 전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것도 스위치의 역할 때문입니다. 이러한 스위치의 구조는 맨 처음 소개한 스위치랑은 조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스위치가 열려있을 때에도 어느 하나의 통로와 연결이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스위치입니다. 바로 이런식으로 말이죠. 열려있을때는 A통로에 연결이 되어있다가 스위치를 누르면 B통로와 연결이 되는 스위치입니다. 



이렇게 두가지의 스위치를 사용해서 대부분의 회로를 구성합니다. 아두이노나 라즈베리파이에 사용되는 스위치도 저 두가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잘 구분하셔서 필요한 스위치로 구매를 하시면 됩니다. 

그림을 보시면 스위치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쉽게 이해를 하실 것 같습니다^-^

어때요 참 쉽죠?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